[세션 1-1 연사]
조 용 래
과학기술정책연구원(STEPI) 연구위원
○ 경력
2020 - 현재 |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차세대회원 (Y-KAST) |
2014 - 현재 | 연구위원/미래전략팀장, STEPI (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) |
2015 - 2015 | 정책연구위원,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(PACST) |
2014 - 2014 | 연구교수,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|
2002 - 2007 | 대리, 현대자동차 재경본부 사업계획팀/회계팀 |
초록
○ 바이오클러스터 정책 진단과 과제
연사정보
[세션 1-1 연사]
조 용 래
과학기술정책연구원(STEPI) 연구위원
○ 경력
2020-현재 |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차세대회원 (Y-KAST) |
2014-현재 | 연구위원/미래전략팀장, STEPI (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) |
2015-2015 | 정책연구위원,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(PACST) |
2014-2014 | 연구교수,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|
2002-2007 | 대리, 현대자동차 재경본부 사업계획팀/회계팀 |
초록
○ 바이오클러스터 정책 진단과 과제
ㆍ바이오산업은 인류의 보건 및 경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음
ㆍ한국의 바이오클러스터는 클러스터 內, 클러스터 間, 그리고 국가차원 정책의 측면에서 문제점과 한계를 노정해 온 바, 한국 바이오 정책의 흐름과 클러스터 논의에 대해 고찰하고 바이오클러스터의 현안과 쟁점을 지역주도 혁신성장의 맥락에서 진단함으로써 정책 방향 컨셉과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함
ㆍ우선, 혁신클러스터 조성 배경과 현황에 대한 기초조사와 함께 생명공학육성 정책과 바이오클러스터 정책 관련 20년의 역사를 계보로 시각화하고자 함
ㆍ바이오클러스터를 點-線-面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1)지역별 바이오클러스터 內 경쟁력 강화(Intra-cluster) → 2)바이오클러스터 間 연계·협력 강화(Inter-cluster) → 3)국가 법정계획 및 추진전략에 반영(National plan)하는 세 가지 컨셉을 한눈에 담는 구조적 시각인 ‘Bio X-Valley’ 구상 및 정책추진 과제들을 제안함